홈페이지PDF파일지난호보기

기업윤리
브리프스

2017년
9월호

전문가 코칭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바람직한 상생경영

위평량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위 평 량 |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

Q1상생경영, 그 요체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상생경영은 공존공영(共存共榮), 즉 함께 번영하고 발전하는 것이 목표다. 기업은 주주와 임직원, 협력업체, 소비자, 채권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연계돼 있다. 기업은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고,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려면 협력업체(supply chain)들의 경쟁력이 높아야한다. 기업이 위계(位階)에 따른 강제나 강압, 그리고 수요 및 공급의 독과점적 지위를 이용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다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 2007~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주가치만 강조하던 영·미식 시장경제론자들조차 이해관계자들을 기업의 이윤극대화 및 장기발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요인이라고 평가하며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s capitalism)를 재조명하기 시작했다.

국내의 상생경영 트렌드를 살펴보면, 1990년대 초부터 학계와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경제정의, 윤리경영, 정도경영, 바른경영 등을 꾸준히 요구해 왔다. 그리고 2006년 초 노무현 대통령과 재계총수들의 ‘상생협력 간담회’를 통해 경영전략의 주제어로 확산되었으나 성과는 크지 않았다. 이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심각한 갈등과 국가적인 양극화 심화의 해법으로서 이명박 정부가 2011년 동반성장전략을 표방하며 좀 더 구체화되었다. 즉, 상생경영은 이론적·정책적으로는 익히 알려진 글로벌 경영전략이었으나 국내에 구체적으로 정착되고 시행된 시점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세기 말까지 기업 간 경쟁은 주로 개별기업의 경쟁력이 좌우하는 양상이었지만, 최근에는 개별기업을 둘러싼 환경과 시스템이 경쟁의 성패를 가른다. 즉, 소비자의 정보취합능력과 선호 및 제품 선택의 다양화와 함께 ICT화와 AI시대 도래에 따른 혁신적인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해당 제품을 생산-공급-조립-판매하는 전체 시스템 간 혹은 작은 단위의 기업생태계 간, 더 나아가 산업생태계 간의 경쟁으로까지 진전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 수용해야만 한다. 경쟁의 추세가 이러하다면 글로벌 21세기 경영전략의 핵심 가치로 인정되고 있는 상생협력과 동반성장의 전략을 과감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Q2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경영은 어떻게 가능한가?

상생경영 전략은 경제적 강자가 경제적 약자의 입장을 고려한 시혜적 차원이어서도, 정부나 시민사회 등 제3자의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구사되는 생색내기여서도 안 된다. 상생경영은 기업가라면 경영철학으로 마땅히 가져가야 할 본질적인 가치라 할 수 있다. 2011년 동반성장위원회의 동반성장 추진과 함께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제도 및 동반성장지수제도가 도입되어 시행 중이다. 이는 정부가 할 수 있는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시도로서 국민경제 전체를 고려한 아주 작은 수단일 뿐이다.

따라서 대기업은 1차적으로 현행법을 준수하는 한편 현행 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고,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에서 접근하여 각 기업차원에 합당한 상생경영전략을 적극 구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글로벌한 차원의 뉴노멀(New Normal)시대에 있어서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저성장·고실업·양극화 극복은 이처럼 정부의 조력과 모든 기업들이 상생경영 철학을 구현할 때 보다 용이할 것이며, 이는 기업 스스로가 필요로 하는 소비 시장의 토대를 두텁게 하는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