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두 명의 성소수자가 여론의 중심에 섰다.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부사관과 여대를 지망한 트렌스젠더 대학생이다. 서구 사회에서 논의되던 다양성 이슈가 한국에서도 비로소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다양성과 포용성은 기업에서도 중요한 문제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전담 직책을 마련하고 다양성과 포용성 확보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이는 선심성 정책이 아니다. 2017년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8개국 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인종, 연령, 성별 등의 다양성 수치가 가장 높은 기업의 혁신성은 다른 기업보다 19% 높았고 매출도 9% 더 컸다. 다양성과 포용성은 재무적으로도 마땅히 지향해야 할 가치인 것이다.
이번 호 사례돋보기에서는 다양성과 포용성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인 기업들의 국내외 사례 및 글로벌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버 - 소수자 무시, 회사 존립의 위기로 이어져

우버는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2018년 한국계 미국인 이보영 씨를 최고 다양성ㆍ포용성 책임자(CDIOㆍChief Diversity&Inclusion Officer)로 임명했다. 국내에서 다소 생소한 CDIO는 미국 대형 기업이 주로 두는 임원 직책으로, 사내 다양한 소수자 그룹이 차별 받지 않는 기업 문화 형성을 담당하는 책임자다. 높은 매출과 빠른 성장만을 목표로 달려온 우버는, 이 CDIO 임명을 계기로 기존 문화를 반성하고 통째로 조직문화를 혁신하기 시작했다.
볼보 - 남성 위주의 충돌실험, 여성 사망률 높여

볼보자동차는 1995년부터 충돌 실험에 여성 더미를 이용하는 등 관련 노력을 확대했다. 2000년대에는 임산부와 관련한 충돌 실험 더미 모델을 개발하기도 했다. 볼보자동차는 1970년대부터 교통사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7만 2천여 명의 탑승자와 4만 3천여 대의 차량 사고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그리고 지난해 3월, 여성, 노인 등 ‘모두에게 안전한 자동차 계획(Equal Vehicle for All Initiative)’을 발표하면서, 기존에 축적해 온 안전 관련 논문 등 다양한 연구 결과 100여 편을 대중에 공개했다. 누구나 볼보의 연구 자료를 통해 교통사고 시 탑승자의 키, 몸무게, 복장 등의 조건은 물론 탑승 위치와 자세 등의 차이에 따라 여성, 어린이, 노인 등이 어떤 위험에 노출되는지 살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삼성물산 - 장애인을 위한 패션, 디자인부터 다르게

한국맥도날드 - 장애인 특수성 고려한 직무 개발, 90세 노인도 고용해
맥도날드는 장애인과 노인 고용에 앞장서고 있다. 맥도날드의 장애인 고용률은 3.49%로 의무 고용률인 3.1%를 상회한다. 특히 타 기업에서는 채용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을 주로 채용한다. 이들에게 적합한 업무를 배정하기 위해 레스토랑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시설 관리 및 유지를 담당하는 ‘메인터넌스(Maintenance)’ 직무를 개발하기도 했다.
맥도날드는 차별 없는 열린 채용을 통해 노인들에게도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작년에 은퇴한 임갑지 크루는 2003년에 입사해 맥도날드 미아점에서 17년간 근무하고 92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맥도날드는 본사에서 임 크루의 은퇴식을 열고 근무기간 동안 단 한 번도 지각과 결근이 없었던 그의 공로에 감사패를 전달했다.
골드만삭스, 앨리엇매니지먼트 - 다양성 높은 기업이 투자 수익도 높아

엘리엇과 골드만삭스가 글로벌 기업들에 잇따라 이사회 구성 변화에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는 점은 자본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업 입장에서 대규모 투자 자금을 운용하는 ‘큰손’들의 요구 사항을 간과하기 어렵고, 결국 국제적 기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다양성, 생존을 위한 경쟁력
생물학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아무리 강하고 유전조건이 우수한 생물이라 해도 종 다양성이 없을 경우 새로운 질병에 적응할 수가 없으므로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기업 또한 살아 움직이는 생물과 같다. 조직의 다양성은 생존을 위한 것이다. 창의성이 없는 조직은 환경변화에 적응력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다.
한국사회와 한국기업의 다양성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하고 또 혁신하기 위해서는 다양성 확보와 포용성 고취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세한 참고자료 리스트는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 내 한글파일(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